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단순한 열정, 적나라한 사랑의 기록

by 노마드 줄리아 2023. 2. 24.
반응형

 

 

오늘은 내가 이번 연도에 이르러 정말 많이 읽은 프랑스 작가 아니 에르노의 대표작 단순한 열정에 대해 리뷰해 보려고 한다. 이 책은 2022년도 노벨 문학상을 받았을 만큼 작품적으로 인정받은 책이다. 소설의 형태지만 작가가 실제로 연하의 남자와 사랑에 빠졌을 때의 그 느낌과 감정이 여과 없이 고스란히 적혀 있어서 매우 인상 깊다. 비록 유부남이라는 사실이 내 높고 높은 도덕적 관점에서 봤을 때 매우 불편했지만 소설은 그것에 관해서보다 사랑에 빠진 한 여자의 적나라한 감정을 세밀하게 묘사한다. 

 

단순한 열정 줄거리

이 책의 주요 내용은 중년의 여주인공이 A라는 유부남 외국인과 사랑에 빠지고 그와 몰래 바람을 피우는 것이다. 여주인공은 교수에다가 작가로 굉장히 지적이고 존경받는 삶을 살면서도 어딘가 공허해서 그런지 그에게 아주 푹 빠졌다. 그가 떠나고 나면 그의 전화를 계속해서 기다리고 그가 아내와 시간을 보내는 것을 상상하면서 질투하기도 한다. 이 책에서 기억에 남는 것은 이 소설의 묘사에 따르면 그가 알랭드롱을 닮았다는 것이다. 알랭 드롱을 닮았다면 도대체 얼마나 잘생긴 거지? 그리고 키도 굉장히 크다고 묘사되어 있다. 그리고 추운 날씨의 동부 출신이라고 하는 것 보니 아마 러시아 사람이 아니었던가 싶다. 실제로 이 남자에 대한 묘사는 아주 디테일하게는 되어있지 않은데 이 인물이 실제 아니 에르노와 바람 폈던 실제 인물이기 때문에 이렇게 책을 내면서도 약간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준 거 아닐까 싶다. 아무튼 둘은 그렇게 남자가 시간 될 때만 연락해서 여자 집에서 만나다가 어느 날 그는 다시 자기 나라에 돌아가게 되고, 여주인공은 크나큰 상심에 빠진다. 하지만 점점 그를 조금씩 잊으려고 노력하고 있을 때, 기다리던 전화가 오게 되고, 잠시 프랑스에 출장 왔다는 그의 전화에 또 그렇게 만나 하룻밤을 보내게 된다. 나중에 그는 다시 자기 나라로 또 돌아가는데, 그 후에는 어떻게 되었는지는 안 나온다. 

 

작가 아니 에르노 소개

아니 에르노는 프랑스의 유명한 작가로, 1940년 9월 1일 생이다. 주로 그녀의 작품은 자서전적인 특징을 띄고 있는데 그 점이 정말 흥미로운 점이다. 자신의 자전적 이야기를 쓰면서도 여과 없이 정말 솔직하게 다 쓰였다. 감추고 싶었을 자신의 성적 욕망이나 아니면 인간의 추악한 본성적인 그런 감정까지도 책에 적어놓아서 솔직히 그녀의 책 몇 권을 읽으면서 놀라기까지 했다. 왜냐면 난 이렇게 지성적인 사람은 그런 추악한 감정은 느끼지도 않는다고 착각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무리 지성적인 사람도 결국은 인간이구나 모두와 똑같은 감정을 가지고 있구나라고 깨닫게 해 준 소중한 작가이다. 개인적으로 내 도덕적 관점에서 올바르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것들도 모두 적혀있었지만 이렇게 자신의 치부가 될 수도 있는 부분을 솔직하게 그리고 정직하게 적을 수 있다는 건 대단한 용기라고 생각하고 그 점에서 존경스럽다고 생각한다. 이 작가에 대해 또 감명 깊은 것이 바로 워킹 클래스 집안에서 태어나 결국은 부르주아 계층으로 들어갔다는 점이다. 이 점에서도 작가가 굉장히 존경스럽지 않을 수가 없다. 그래서 그녀의 책을 보면 프랑스에 표면상으로는 없지만 어느 세계에서나 있는 계급적인 차이 그 속에서의 정체성 갈등 이런 게 많이 적혀있던 기억이 난다. 실제로 이 책에서도 이혼 전 부르주아 계급 남편을 만나고 교수라는 직업을 가지면서 클래식음악을 듣게 되던 그녀가, 사랑에 빠진 후로 통속적인 음악을 즐겨 듣게 되고, 또 사랑한 A가 통속적인 드라마 보는 걸 즐거워하는 걸 보면서 자신의 계급 상승에 대한 생각도 하게 된다. 

 

단순한 열정 개인적인 감상평

생각보다 책이 되게 얇아서 처음에 봤을 때 놀란 기억이 있다.하지만 얇아도 있을 건 다 있는 책이었다. 여자의 감정 하나하나가 너무 사실적으로 적혀있다. 사랑하는 사람이 언제 전화할지 몰라서 애태우는 그 마음 그리고 다시는 못 볼까라는 생각에 드는 두려움 안타까움 등등 열정적인 사랑에 빠져봤던 사람이라면 불륜이 아니더라도 다 느꼈을 그러한 감정이 모두 적혀있다. 실제로 나도 사랑에 깊게 빠진 적이 있는데 여기에 쓰여 있는 묘사들이 그래서 더 와닿은 거 같기도 하다. 물론 책에서는 그 사랑이 뭔가 집착적으로 느껴질 만큼 적혀있는 부분도 있는데 그 부분이 바로 내가 작가에게 감탄하는 이유다. 어떻게 저렇게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는 용기가 있는 걸까? 나 같으면 자전적인 소설은 쓰기도 두려울 것이고 설사 쓴다고 해도 어떻게든 미화해서 내가 더 좋은 사람으로 보이게 만들 텐데, 아니 에르노는 다르다. 다른 사람이 보기에 추악하다고 느껴질 만한 그러한 모습도 모두 솔직 담백하게 다 썼다. 그리고 이 작품이 노벨 문학상을 받으면서 영화로도 제작이 되었다고 하는데 지금 볼까 말까 망설이는 중이다. 왜냐면 이 책은 물론 성적인 관계에 대한 묘사도 있지만 그 보다 여자의 감정선이 농도 있게 묘사되어 있는데 과연 영화에서 그것을 잘 다룰까라는 의문이 들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19금인 거 보면, 베드신에 엄청난 수위를 넣고, 이런 감정적인 부분은 많이 지나갔을 것 같은 두려움이 든다. 이 책을 정말 재밌게 봤기에 영화도 내 기대에 걸맞은 높은 수준이기를 바라본다. 일단 두 배우들은 내가 생각했던 이미지와 비슷하긴 했다. 근데 남주인공이 금발이 아니라서 좀 아쉽다. 책에서는 금발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그렇게 상상이 되는데 영화에서는 어두운 색 머리다. 

반응형

댓글